이번 포스팅에서는 아르바이트 주휴수당에 대해 알아보려고 하는데요.
아르바이트를 하기전에 주휴수당이 얼마인지 최저시급이 얼마인지
근로계약서는 작성을 하는지 등을 확인하는 것도
나중에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미연에 방지 할 수 있는 좋은 방법입니다.
올해 최저시급은 2016년 대비 7.3%가 인상이 된 6,470원 이라고 하는데요.
아직도 최저시급을 주지 않거나 2016년의 최저시급을 주는 곳도 많다고 합니다.
2017년 최저시급을 정하기 전에 최저시급을 만원으로 대폭 인상하자는 의견이 많았는데요.
현실적인 물가를 고려했을 때는 최저시급을 만원으로 책정하는게 맞는 것 같지만
여러가지 문제로 인해서 올해 최저시급이 6.470원이 된것은 안타까운 것이 사실입니다.
예전에 SBS에서 각 국의 물가를 비교하며 만원으로 얼마나 많은 물건을 살 수 있는지 실험을 한 적이 있는데요.
우리나라보다 훨씬 잘살고 선진국인 나라에서 만원으로 오히려 우리나라보다 더 풍족하게
장을 보는 것을 보고 적잖게 놀란 적이 있습니다.
그만큼 우리나라 물가가 현실을 전혀 반영하고 있지 않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거품이 너무 많이 끼었다고 생각이 드는 것이죠.
아무튼 아르바이트 주휴수당에 대해 이제부터 알아보려고 하는데요.
주휴 수당이란 1주일 동안 근무를 하게 되면 지급하게 되는 유급 휴일에 대한 수당이라고 합니다.
1주일에 15시간 이상을 일하면 주휴 수당을 받을 조건이 된다고 하는데요.
주휴 수당의 계산법은 (일주일 총 근무시간 / 40시간 ) * 8시간 * 시급으로 계산을 한다고 합니다.
주휴 수당 계산이 어려운 분들은 주휴수당 계산기라고 검색을 하시면
좀 더 쉽게 조회를 하실 수 있다고 하니 참고하세요.
오늘은 아르바이트 주휴 수당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그럼 이상으로 오늘 준비한 포스팅을 마치도록 할게요! :D
아르바이트 주휴수당 계산법 알아보기